2025/05/26 4

부유식 주거단지의 설계 원칙과 구조적 특성

1. 부유식 주거단지 개념의 등장과 도시 구조의 전환기후 변화, 해수면 상승, 도시 과밀화 등의 전 지구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도시 주거 모델로 부유식 주거단지가 급부상하고 있다. 부유식 주거단지(Floating Residential Complex)는 기존의 육지 기반에서 벗어나 수면 위에 구축되는 모듈형 또는 대규모 통합형 부유 구조물 위에 거주 기능을 집약한 단지를 의미한다. 이 구조는 고정된 도시 개념을 해체하고, 확장성과 이동성을 갖춘 유연한 도시형태로 재구성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공간 구조의 전환을 반영하고 있다.부유식 주거단지는 단순히 물 위에 집을 짓는 것을 넘어서, 수상 생태계와의 조화를 고려하고 자립형 에너지 시스템, 식수 정화 시스템, 폐기물 재활용 구조 등을 통합함으로써 '작..

건축 2025.05.26

해수면 상승과 도시 침수(부유식 건축의 필요성)

1.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의 가속화21세기 들어 인류가 직면한 가장 심각한 환경 문제 중 하나는 바로 해수면 상승이다. 이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극지방 빙하의 급속한 융해와 해양 열 팽창에 의해 발생하며, 전 세계 연안 도시의 존립을 위협하고 있다. 세계기상기구(WMO)와 IPCC의 보고에 따르면, 20세기 동안 해수면은 약 15cm 상승했고, 현재는 연간 3.7mm 속도로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해안 침수, 염수 침투, 폭풍 해일의 피해 증가 등 다양한 형태로 도시 생태계를 압박하고 있다.특히 방글라데시, 몰디브, 투발루, 벤투치 등 해발 고도가 낮은 국가나 도시들은 이미 주기적인 침수 피해를 경험하고 있으며, 2100년까지 1억 명 이상의 인구가 이주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는 분석도 ..

건축 2025.05.26

기후 변화 대응 기술로서의 부유식 도시 개념

1. 기후 위기의 심화와 해수면 상승의 현실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는 전 세계 도시와 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해수면 상승은 저지대 해안 도시들의 생존 문제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미 여러 국가에서 연안 침수 및 토지 유실로 인해 이주 계획이 현실화되고 있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2050년까지 8억 명 이상이 해수면 상승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도시 모델이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있다.기존 육지 기반 도시들은 해안 방조제 건설, 지반 고도화, 배수 인프라 개선 등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고 있지만, 기술적·경제적 한계와 환경 파괴 문제가 공존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부유식 도시(Floating City)는 물 위에서 확장 가능한 새로운 도..

건축 2025.05.26

부유식 건축물의 개념과 역사적 발전 과정

1. 부유식 건축물의 정의와 개념적 배경부유식 건축물(Floating Architecture)이란, 지반이 아닌 수면 위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의미하며, 주거용, 상업용, 공공 인프라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일반적인 건축물이 지반 위에 고정되어 건설되는 반면, 부유식 건축물은 수면의 부력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부유하거나 고정 계류(anchor mooring)를 통해 위치를 유지한다. 이는 해수면 상승, 도시화의 한계, 공간 부족,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건축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개념적으로 부유식 건축물은 단순한 수상가옥이나 선박형 시설과는 구분되며, 구조적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갖춘 ‘건축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술적으로는 부유체(floating platform), 계류 시스템(moo..

건축 2025.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