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 3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건축 규정과 미래형 건축 기술

1. 기후 위기 시대, 건축이 마주한 환경적 책무21세기 인류가 직면한 가장 중대한 과제 중 하나는 기후 변화다. 지구 평균기온 상승, 해수면 상승, 빈번해지는 이상기후, 대기 질 악화 등은 단지 자연환경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일상생활과 도시 인프라를 직접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특히 건축 부문은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약 36%를 차지할 정도로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이다. 이는 건축물의 설계, 자재 생산, 시공, 운영, 해체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에너지와 자원이 소비되기 때문이다.기후 변화 대응에 있어 건축의 역할은 단지 에너지를 절약하는 수준을 넘어, 적극적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고, 환경 회복력을 높이는 공간을 구현하는 것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 세계적으로 건축..

건축 2025.04.20

친환경 건축 인증제도(LEED, BREEAM)와 그에 따른 기술 변화

1. 지속가능한 건축의 필요성과 인증제도의 등장 배경기후 위기, 자원 고갈, 생태계 파괴와 같은 환경적 위협이 심화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건축물은 에너지 사용, 온실가스 배출, 자원 소비, 폐기물 발생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큰 분야로,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약 30~4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에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인간에게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는 설계 및 시공 방식이 요구되기 시작했다.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친환경 건축 인증제도(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이다. 이는 건축물의 환경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일정 기준 이상을 ..

건축 2025.04.20

해양 건축법과 부유식 건축 기술 발전

1. 해양 공간 이용 확대와 해양 건축 제도의 도입 배경기후변화, 해수면 상승, 도시 고밀화 등의 문제로 인해 육지 기반의 도시 개발에는 한계가 드러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 공간의 새로운 활용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커지고 있다. 특히 연안 도시의 인구 밀집과 부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항만 인근이나 내해(內海)를 중심으로 해양 공간을 건축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상 위에 인공섬, 수상 도시, 해양 관광시설, 부유식 주거 단지 등을 건설하는 **해양 건축(Marine Architecture)**이 새로운 개발 유형으로 부상하게 되었다.그러나 그간 한국에서는 해양 공간에 대한 건축물의 설치 및 관리에 대한 법적 기반이 미비했기 때문에, 관련 행위는 대..

건축 2025.04.20